성장 기록 블로그🌴

@0906 자바 뿌시기 1일차! ( 자바 특징 , 자바 개발환경 , 자바 단축키 모음 , 자바 변수 , 자바 상수 ) 본문

AI & BigData 교육과정/Java 관련

@0906 자바 뿌시기 1일차! ( 자바 특징 , 자바 개발환경 , 자바 단축키 모음 , 자바 변수 , 자바 상수 )

wlswls2s 2022. 9. 6. 22:20
728x90

◆ 자바 수업 진행 방향




< 자바 1일차 내용 >

●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차이
● 컴퓨팅사고 개념
● 자바 개발환경
● 자바 개념 - 1. 변수
● 자바 개념 - 2. 상수


◆ 자바 변수명 짓기 사이트

https://www.curioustore.com/#!/


◆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차이
- 하드웨어

하드웨어: 케이스, 중앙 처리 장치, 모니터, 자판, 컴퓨터 기억 장치, 그래픽 카드, 사운드 카드, 메인보드와 같은 컴퓨터의 물리적 부품

소프트웨어: 컴퓨터 시스템, 프로그램, 데이터에 의해 처리된 모든 정보를 의미

◆ 컴퓨팅 사고

  •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리적 문제해결 과정

< 절차 >

  1. 분해 - 문제,자료,과정을 작게 다룰 수 있는 부분으로 나누기
  2. 패턴인식 – 데이터에서 비슷한 부분, 다른부분 관찰/인식
  3. 추상화 – 패턴을 만드는 일반적인 규칙 찾기
  4. 알고리즘 설계 – 유사한 문제를 풀기 위한 단계적 방법 설계하기


◆ 자바 개발환경

JDK(Java Development Kit) – 자바 개발 키트
JRE(Java Runtime Environment) – 자바 실행 환경
JVM(Java virtual Machine) – 자바 가상 머신★
=>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 자바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줌
IDE(Inter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) - 자바언어를 이용해서 개발하는 환경

◆ 자바 특징

(1) 플랫폼 독립성
• 바이트 언어이기 때문에,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사용가능하여 개발환경에 구애받지않음
• 자바 가상머신(JVM)만 있으면 어떠한 환경에서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독립성이 존재함

(2) 객체지향 언어
• 눈에 보이는 객체들을 정의하고, 그 객체들의 속성을 클래스로 만든 후, 객체들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계속 사용하는 것이 바로 객체지향

(3) 멀티쓰레드
• 하나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이며 대용량 작업 처리가 가능함
• 운영체제 관계없이 구현가능하며 멀티쓰레드의 스케줄링은 자바 인터프리터가 함
• 쓰레드 생성 및 제어와 관련된 API가 제공되어 쉽게 구현 가능함

(4) 자동 메모리 관리
• JVM에는 메모리 관리자 역할을하는 가비지 콜렉터(Garbage Collector)가 존재
• 더 이상 사용하지않는 메모리나 불필요한 메모리를 제거함
• 메모리가 부족하면 메모리의 조각 모음을 실행하여 자동으로 메모리를 관리함
• 객체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고 사용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객체를 제거하여 프로그래머는 메모리 관리를 신경쓰지않아도 됨


◆ 자바 단축키

  • 코드 실행(Run) : Ctrl + F11
  • 주석(코드설명) : // , 원하는 부분 드래그 후 Ctrl+/
  • Main 메소드 만들기 : main 타자 입력 후 Ctrl + Spacebar => 클래스 생성 시 깜박하고 메인 메소드 입력을 안했을 때 사용하면 good!
  • 자바 print문 자동생성 : syso 입력 후 Ctrl + Spacebar
  • Scanner 사용 시 자동 import :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 입력 후 빨간 줄 뜨는 부분에 대고 Ctrl + Shift + o
  • 코드 예쁘게 정리 : Ctrl + Shift + f
  • 코드 복사 : Ctrl + Alt + 방향키(위,아래)
  • 코드 선택 : Alt + 방향키(위,아래)


◆ 자바개념 - 변수 ( 이름 짓기 어려울 땐 : https://www.curioustore.com )

사전적 의미: “변화를 줄 수 있는” or “변할 수 있는 수”
프로그래밍에서의 의미: “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공간”
< 변수 선언하는 법 >
< 변수 코드 >


< 변수 규칙 >


◆ 상수(constant) - final

사전적 의미: “불변하는” , “변하지 않는 수”
프로그래밍: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공간
<상수이름 설정>
<상수 선언하는 법>
< 상수 코드 >

728x90